1984년 도쿄 국제 마라톤 대회에서 우승한 야마다 혼이치.
그는 잘 알려지지 않은 무명 선수였습니다.
2년 뒤인 이탈리아 국제 대회에서도 우상을 거머쥐자
언론과 사람들은 그의 비결을 궁금해했는데요.
그는 10년 자신의 자서전에서 비밀을 밝혔다고 합니다.
“저는 매번 시합을 앞두고 마라톤 코스를 미리 돌아보며 코스마다 눈길을 끄는 목표물을 정해둡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목표물은 은행, 두 번째는 큰 나무,
세 번째는 붉은 집 등 나만의 목표를 세워두는 것입니다.
그리고 경기가 시작되면 100미터 달리기하듯
첫 목표물을 향해 돌진합니다.
그리고 같은 속도로 두 번째 목표물을 향해 달리죠. 그렇게 풀 코스를 여러 코스로 나누어 달리면 훨씬 수월하게 달릴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40km 이상 떨어진 결승선을 보고 달렸는데
겨우 몇 km 달리고 지쳐버렸습니다.
결승선까지 아직도 멀었다는 생각에 두려움을 느꼈기 때문이죠.”
많은 사람이 노력하다가 중도에 포기하는 이유는
처음부터 지나치게 높고 원대한 목표를 세우기 때문입니다.
실패해서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성공으로 향하는 길이 너무 멀고 험해서 포기하는 것이죠. 목표는 반드시 손에 잡힐 듯 분명하고 실현 가능해야 합니다.
의욕 충전 한 마디!
공부를 열심히 하고자 목표를 너무 크게, 많이 세우는 것보다는 실제로 내가 할 수 있는 만큼의 작은 목표로 시작해 보세요.
여러 단계를 한 번에 오르는 것보다 한 단계, 한 단계 차근차근 오르며
공부량과 시간을 늘린다면 크고 원대한 목표에도 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